안녕하세요? 멜로디카입니다.
어제에 이어서 2편을 공유합니다. 원문과 1편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세요.
- 원문 : https://insights.glassnode.com/surveying-the-may-2021-sell-off/
- 1편 : https://www.steemcoinpan.com/hive-101145/@melodica7/2021-5-sell-off-1
이탈하는 유동성 VS 드라이 파우더
스테이블 코인은 의심할 여지없이 리저브 자산(reserve assets)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각각의 스테이블 코인은 '일정한 가격을(satble)' 유지하는 고유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1달러 페그와 비교한 스테이블 코인의 가격 움직임은 이탈하는 유동성의 수요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특히 3 ~ 4월까지, 가장 큰 3대 스테이블 코인인 USDT, USDC, DAI는 모두 코인베이스 직상장 직전 1개월 동안 1달러 이상에서 페그되어 거래되었습니다. 이는 잠재적으로 '뉴스에 매도'를 예상하고 이탈하는 유동성의 스테이블 코인에 강한 수요가 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급격한 매도의 반대편에는, 그 이후 스테이블 코인의 유통량이 사상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지난 4월 14일 조정이 시작 이후, 스테이블 코인의 공급량은 지난 1.5개월 동안 다음과 같은 양으로 확대되었습니다.
- USDT 14.2B 상승(+30%)
- USDC 9.72B 상승(+88%)
- DAI 1.22B 상승(+38%)
스테이블 코인 공급비율(SSR)은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을 모든 스테이블코인의 총 공급량과 비교하며, 암호화폐의 달러표시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SSR 값이 낮다는 것은 비트코인 시가총액에 비해 스테이블 코인의 공급량이 많다(드라이 파우더, 매수 대기자금)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트코인 가치가 쪼그라들고 스테이블 코인의 공급이 늘면서, 이 SSR비율은 이제 사상 최저치인 7.5배 수준입니다. 이는 역사상 가장 큰 암호화폐의 구매력인 것을 나타냅니다.
홀더들의 소비 행동
마지막으로, 우리는 시장의 매도와 홀딩에 대해 조사할 것입니다. 특히 우리는 신규 투자자들 사이에 계좌잔고를 비교하는데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그들은 비트코인 세계의 변동성과 FUD 재료에 상대적으로 처음인 단기홀더(STH)와 수년간 전투의 상처로 확신을 가지고 있는 장기보유자(LTH)로 나눠집니다.
2020 ~ 2021년 강세장 내내, 6개월 ~ 3년 보유한 코인(마지막 사이클 구매자로 대표되는)은 두 번의 매도 증가를 경험했습니다.
- 2020년 12월 ~ 2021년 2월까지 10만 달러 ~ 42만 달러까지 상승하는 시장 강세 기간 동안 수익 실현
- 4월 말에서 5월 중순까지 더 오래 보유한 비트코인의 매도, 잠재적인 자본회전(이때 이더리움 가격이 두 배 상승), 그리고 위에서 논의한 약화된 시장구조에 잠재적으로 대응
그러나 두 기간 이후, 가격은 조정되고 오래 보유한 코인들의 매도는 상당히 둔화되었습니다. 이것은 오래 보유한 투자자들은 큰 조정 이전에 매도(그 매도는 역시 원금회복해서 파는 물량(overhead supply) 포함)에 상당히 능숙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그들은 가격이 저렴해짐에 따라, 홀딩에 대한 확신(그리고 하락에서 매수합니다)으로 되돌아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2017년 최고점과 오래 보유한 코인의 매도행태를 비교해보면, 시장이 호황으로 바뀌면서 오래 보유한 코인의 매도속도가 둔화되는 다소 비슷한 패턴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약세장의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오래 보유한 코인의 비율이 다시 살아난 것은 첫 번째 안도랠리에서 였습니다. 유사한 이벤트들이 2018년 대부분의 약세장 랠리기간 뿐 아니라 11월 마지막 투매에도 일어났습니다.
이 지표는 현재의 시장구조에서 주시해야 할 중요한 지표입니다. 왜냐하면 시장반등에서 오래 보유한 코인에서 유사한 대량 유출이 일어나는지 여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오래 보유하고 있고, 유통되지 않은 코인이 매도되지 않으면 전투의 상처를 입은 홀더들 사이에 낙관적인 전망이 남아 있음을 시사합니다.
'Realised Cap HODL' 지표는 여러 보유기간별 활성화된 공급량의 비율에 대한 견해를 제공합니다. 전형적인 사이클 패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장기 보유한 코인들은 약세장 기간동안 매집이 재개되면서 증가하는데, 이때 부(wealth)는 투기꾼에서 장기 홀더들에게 이동합니다.
- 단기 보유한 코인들은 강세장 기간 동안 보유자들이 비싼 가격에 새로운 투자자와 단기 매매를 하는 투기꾼들에게 매도하면서 증가합니다.
현재의 시장구조에서 새로운 투기꾼들이 시장에 들어오면서 3개월 미만으로 보유한 코인이 먼저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이는 10만 달러에서 42만 달러로 돌파 후, 오래 보유한 코인이 매도되었던 초기 강세장 랠리와 일치합니다. 이 사이클에서 두드러지게 다른 점은 새로운 투기꾼들의 몫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현상에 대한 몇가지 설명이 있습니다.
- 블럭체인과 어떠한 상호작용없이, 가격노출을 얻기 위해 파생상품 및 금융상품에 대한 증가한 접근
- 소규모 투기자들의 선호, 비트코인 외에 다른 암호화 자산에 대한 단일 바이어스 그리고 파생상품 및 레버리지 오프체인의 유사한 접근
- 증가된 코인 성숙도 그리고 강세장 초기에 매집하여 홀딩하여 오래 보유한 코인을 조기 확장(코인의 성숙)으로 이끈 기관 투자자
이 차트를 거꾸로 보면, 오래 보유한 코인 홀더의 비율과 관련된 두 가지 관찰할 수 있습니다.
- LTH(단기보유자)가 보유한 공급은 사실상 매집으로 돌아섰고, 코인 성숙과 기관투자자의 홀딩이 유효하다는 논거를 뒷받침합니다. 만약 이것이 실현된다면, 그것은 약세장의 시작과 닮아있을지 모르지만, 그 또한 결국엔 공급압박을 촉진할 것입니다.
- LTH는 이전 시장사이클과 비교해서 활성화된 공급량의 10%이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두 번째 포인트는 홀더들이 매도하는 코인이 적다는 점에서 두 가지 모두 강세장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비교적 작은 규모의 매도를 흡수하기에 수요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보여, 역시 약세장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결국 폭락이 진행되는 동안, 재정적 고통은 원금수준으로 돌아가거나 아니면 투매로 실현하지 않은 수익이 증발하는 것을 보는 것에서 오게 됩니다. 순미실현 손익(The Net Unrealised Profilt and Loss) 지표는 총 손익의 정도를 계산합니다. 이것은 매도하지 않은 코인의 총 손익 정도를 시가총액의 비율로 계산합니다.
우리는 이 지표를 STHs(5개월 미만으로 보유한 코인)로 필터링한다면, 5월 폭락은 비트코인 역사상 하락의 규모와 가장 강한 투매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21년 엄청난 규모의 투자자들이 현재 손실상태인 코인을 홀딩하고 있습니다. 강세장의 역풍이 분다면, 가격회복을 시도하면서 원금회복할지도 모릅니다.
만약 우리가 비슷하게 장기홀더(LTH)가 보유하고 있는 코인을 유사하게 필터링한다면, 시장이 역사적인 칼날 위에 서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차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장기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미실현 PnL은 비트코인의 엄청난 가격 움직임의 결과로써 변동성이 적어지고 더 사이클적인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홀더(LTH)가 보유하고 있는 순미실현 PnL의 현재 수준은 과거 강세장 사이클과 약세장 사이클 사이의 경계인 0.75 수준을 시험하고 있습니다. 2013년 '더블 펌프' 시나리오에서만 이 지표가 다시 회복되었습니다. 장기홀더(LTH)의 이익이 계속 하락할 경우, 이 역시 새로운 원금을 회복하면 매도하는 투자자를 만들어내게 될 것입니다. 반면, 더 높은 가격과 '하락에서 매수'로 인한 공급부족은 2013년 '더블 펌프' 시나리오와 비슷하게 흘러가기 시작할 것입니다.
결론 요약
이 글에서 우리는 역사장 가장 화려한(그리고 최악의) 매도 이전, 중간, 이후의 시장구조를 설명하는 많은 지표들을 탐구했습니다. 요약하자면, 활용 가능한 데이터에서 해석될 수 있는 여러가지 강세장 및 약세장의 사례가 있습니다.
약세장에 대해
- 기관의 수요는 2월부터 분명히 약해졌고 그에 따른 공급 감소/부족은 대부분 소멸되었습니다.
- 거래소 잔고는 의미있게 증가하였습니다. 그 결과로 이제 다시 재매집하여야 하는 많은 양의 코인과 원금회복에서 매도량이 발생했습니다.
- 스테이블 코인가격은 코인베이스 상장으로 매도는 진행 중이었고, 장기 보유한 투자자들은 폭락 전 즉시 매도한 것을 시사합니다.
- 원금손실 중인 많은 단기투자자들의 수와 장기보유자의 미실현 이익은 과거 약세장과 일치하는 역사적 칼날 위에 놓여 있습니다.
강세장에 대해
- 기관 상품 GBTC와 ETF는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 거래소 잔고는 증가했지만, 보다 미묘한 시각은 미국이 규제하는 곳과 그 외 거래소의 차이를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거기엔 국가별 편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스테이블 코인 발행이 대폭 확대되면서 사상 최대규모의 암호화폐 구매력을 만들어 냈습니다.
- 주요 매도는 단기 보유자인 반면 장기 보유자들은 점점 더 확신에 차서 '하락에 매수'한 것으로 보입니다.
비트코인을 홀딩하는 것이 쉽다는 주장하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지난 주에 경험한 변동성은 시장의 일부입니다. 분명한 것은 매도의 규모가 상당했고, 현재 많은 수의 구매자들이 원금손실 상태에 있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시장이 어떻게 회복되는가는 '디지털 희소성이라는 거시적 배경' 속에서 시장에 대한 확신의 시험대가 될 것입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melodica7 transfered 3 KRWP to @krwp.burn. voting percent : 5.04%, voting power : 60.73%, steem power : 1780673.90, STU KRW : 1200.
@melodica7 staking status : 463.994 KRWP
@melodica7 limit for KRWP voting service : 0.927 KRWP (rate : 0.002)
What you sent : 3 KRWP
Refund balance : 2.073 KRWP [54279019 - ed24e11de2079d445f40aec88725dc1665cfe7d3]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ramires gave melodica7 gifts(10 SCT).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감사합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다시 상승으로 방향을 틀어서 좋네요.
이대로 쭉 갔으면 좋겠습니다.ㅋ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